한국인의 토착사회심리학 구성과 그 림상심리학적 시사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9 12:43본문
Download : 한국인의 토착사회심리학 구성과 그 림상심리학적 시사점.hwp
1) 왜 한국인의 토착사회심리학이 필요한가?
(1) 리론 및 방법론적 측면
· 심리학의 창시단계에서, Wundt의 심리학적 시각: test(실험) 심리학과 대중·文化(Volk)심리학 구분 및 Wundt의 대중·文化 심리학적 접근의 drawback(걸점).
· Vico와 Herder의 사회적 구성주의
· Heider의 Naive Psychology전통: 최상진의 탈Heider사회심리학
· Moscovici의 사회적 표상theory 과 구라파 심리학의 미국심리학에 대한 반발:
자연과학모형 대 사회과학 모형
(2) 실제적, 현실적 측면
· 미국사회심리학 槪念 및 theory 이 한국文化상황에서 부적합:
그 근본구조로 개인주의文化 대 관계주의文化:
(예) 인지불균형 theory 에서의 인지요소간 불일치가 불균형을 유발한다는 서구적 시각의 문 제, 정체감 및 정체감위기, 자아 및 자아실현, 감수성훈련 및 자기주장훈련등.
· 비교文化심리학 분야의 자료(資料)가 거의 전문한 상태. 가끔있더라도 외국학자가 재외 한국학 자와의 피상적 공동연구-이런 논문의 문제는 ①서국의 theory 으로 한국인 조명과 ②인식론 은 있으나 현상론적 이해와 theory 의 결핍. 이와 관련하여 외국대학에서의 한국인 심리자료(資料) 부족으로 인한 drawback(걸점)들.
· 국내적으로 사회학(최재석, 홍승직등), 민속 및 인류학, 국문학 분야에서의 한국인 논의는 …(skip)
설명






순서
한국인의 토착사회심리학 구성과 그 림상심리학적 시사점
(1) 리론 및 방법론적 측면
레포트/공학기술
1) 왜 한국인의 토착사회심리학이 필요한가?
· 심리학의 창시단계에서, Wundt의 심리학적 시각: 實驗(실험)심...
,공학기술,레포트
1) 왜 한국인의 토착사회심리학이 필요한가?(1) 리론 및 방법론적 측면· 심리학의 창시단계에서, Wundt의 심리학적 시각: 실험심... , 한국인의 토착사회심리학 구성과 그 림상심리학적 시사점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한국인의 토착사회심리학 구성과 그 림상심리학적 시사점.hwp( 75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