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수양록] 독서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2 02:01
본문
Download : [독서수양록] 독서력(2).hwp
교양을 쌓을 수 있을 정도의 힘을 뜻한다. 독서력이란 많은 책을 읽는 것이 아닌 어려운 책도 읽을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日本 도 마찬가진가보다. 예전의 日本 에 비하면 지금 사람들 책 안 읽는다고 저자는 통곡한다. 예전에 읽은 어떤 책에서는 -아마 김선욱의 `틈새독서`였을 것이다 -무협지만 보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로인해 다른 책은 못 읽게 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고 했다. 추리소설이나, 잡지, 무협지등은 독서력을 기를 수 없다고 저자는 말한다. 내가 이해하고 있는 부분들에 대한 생각과 일치했기 때문일것이다 책을 읽는 힘 즉, 독서력! 이 얼마나 건강하고 건설적인 힘인가. 사이토 다카시는 그 힘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경험을 책 한권으로 펴냈다. 과거에는 책 말고는 문화를 습득할 만한 것들이 적었…(투비컨티뉴드 )
레포트/감상서평
![[독서수양록]%20독서력(2)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C%84%9C%EC%88%98%EC%96%91%EB%A1%9D%5D%20%EB%8F%85%EC%84%9C%EB%A0%A5(2)_hwp_01.gif)
![[독서수양록]%20독서력(2)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F%85%EC%84%9C%EC%88%98%EC%96%91%EB%A1%9D%5D%20%EB%8F%85%EC%84%9C%EB%A0%A5(2)_hwp_02.gif)
독서수양록,독서력,감상서평,레포트
다. 독서의 습관에는 도움이 될지라도 독서력을 향상시키기에는 무리라는 말이다.
사이토 다카시.
日本 최고의 교육 심리학자. 도쿄대학 법학부 졸업. 동 대학원 교육학 연구과 박사 과정 수료. 주요 일간지의 칼럼니스트로 활약. 강연, 상담. 현재 메이지대학 문학부 교수로 재직 중.
요즘 사람들 책을 읽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그렇지가 않다. 저자가 비유한는 대목이 어찌나 한국과 똑같은지 마치 한국의 교수가 한 말과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이제는 미디어 시대이닌 책이란 고리타분한 것을 누가 읽은후 앉아있느냐고 말하는 사람도 늘었다.
설명
Download : [독서수양록] 독서력(2).hwp( 44 )
[독서수양록] 독서력 , [독서수양록] 독서력감상서평레포트 , 독서수양록 독서력
순서
[독서수양록] 독서력
[독서수양록] 독서력
독서력
사이토 다카시
황선종 옮김
웅진지식하우스
초판 1쇄 2009년 8월
초판 4쇄 2009년 10월
자기계발 ` 성공/처세 ` 자기혁신/자기관리
독서기간 : 2009/12/22~27
책을 읽는 내내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었다. 일면 맞는 말이기도 하고, 저자의 말과 상통하는 말이다.
저자는 독서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4년안에 문학작품 100권, 인문교양서 50권을 읽으라고 했다.
하지만, 요즘의 현대인들에게 책은 과거의 그네들보다 더 쉽지 않은게 현실이다. 억지로라도 읽다보면 독서력은 차츰 생긴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