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차론, reaction 시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9 14:43
본문
Download : 오차론, 반응시간.hwp
오차가 줄어드는 것은 분산과 표준편차가 줄어든다는 의미이므로 평균(average)의 표준 편차도 줄어든다. 따라서 좀 더 정확한 측정(測定)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 자기 자신의 反應 시간을 이용하여 다음을 계산해 보자. 시속 80km로 차를 운전하고 있다고 하자. 갑자기 긴급 상황이 발생하여 차를 멈추어야 할 때 그것을 보고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까지…(To be continued )




설명
레포트/자연과학
오차론, reaction 시간
오차론, 반응시간 , 오차론, 반응시간자연과학레포트 , 오차론 반응시간
순서
오차론, reaction 시간
Download : 오차론, 반응시간.hwp( 83 )
다.
오차론,반응시간,자연과학,레포트
오차론, 反應시간
test(실험) 1. 反應 시간의 측정(測定)
[1] 측정(測定) 값
I
떨어진 거리 (cm)
〓 (msec)
시간의 편차(msec)
편차의 제곱(msec)
1
2
3
4
5
6
7
8
9
10
19.5
24
22.5
21
14.5
18
19
21
17
20.5
199.4891
221.3133
214.2857
207.xxx7
172.0228
191.663
196.915
207.xxx7
186.2629
204.5403
-0.56401
21.26xxx
14.23257
6.966519
-28.0304
-8.39xxx
-3.13817
6.966519
-13.7902
4.487152
0.318102
451.9955
202.5659
48.53239
785.7xxx
70.3951
9.848088
48.53239
190.1702
20.13454
합계
2000.531
1828.194
평균(average)
200.0531
[2] test(실험) 값 계산 및 결과
평균(average)값 〓 〓 200.0531
표준편차 〓 〓 14.2524
표준오차 〓 〓 4.5070
反應시간 〓 200.0531 ± 14.2524 (msec)
[3] 질문에 대한 토의
`1` 만일 10번 대신 1000번을 측정(測定) 한다면 결과는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또 평균(average)의 표준편차는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 측정(測定) 횟수를 10번 대신 1000번을 한다면 평균(average)값이 더욱 실제 평균(average)값에 가까워 질것이고,
오차가 줄어들어 전자보다 후자에서 참값의 범위가 좀더 좁혀질 것이다.